'제약마케팅'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제약마케팅5

RA·QA와 협업 잘하는 해외영업의 비밀 전략 해외 제약·바이오 비즈니스에서 성공적인 제품 수출과 시장 확장을 위해서는 영업부서 단독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특히 인허가(RA), 품질보증(QA), 생산, 마케팅 부서와의 긴밀한 협업과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만, 바이어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품질·서비스 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해외영업 실무자가 실질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주요 부서들과의 협업 방식과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부서별로 정리해 드립니다.1. 인허가팀(RA)과의 소통 포인트인허가팀은 제품의 허가, 등록, 변경사항 대응 등 바이어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법적 허용 범위'를 다루는 핵심 부서입니다. 해외영업 담당자는 바이어와의 계약 체결 전후, RA와의 정보를 정기적으로 공유해야 하며, 특.. 2025. 6. 24.
해외 파트너 갈등, 이렇게 풀자: 오해 → 협상 → 신뢰 회복 해외영업 실무에서 외국 파트너와의 협력은 수출의 핵심 요소이지만, 문화적 차이, 의사소통 문제, 계약 해석의 오해 등으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특히 제약·바이오 산업처럼 규제와 품질 기준이 까다로운 분야에서는 작은 오해가 신뢰 훼손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외국 파트너와의 갈등 발생 원인을 유형별로 정리하고,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응 전략과 관계 복원 방안을 공유합니다.오해로 인한 갈등: 커뮤니케이션의 함정해외 파트너와의 초기 갈등 원인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의사소통의 오해'입니다. 이는 단순한 언어 차이뿐만 아니라, 표현 방식, 명확성 부족, 기대치 차이 등 다양한 요소에서 비롯됩니다.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검토해 보겠습니다'라는 표현이 사실상 거절의.. 2025. 6. 23.
LOI·MOU·기술이전 계약 차이점 완벽 정리! 실전 활용 가이드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의 확장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기술 계약서가 실무에서 필수 문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파트너와 협력할 때 LOI, MOU, 기술이전 계약서(Technology Transfer Agreement, TTA) 등의 활용 빈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계약의 개념, 사용 목적, 주요 조항, 체결 시 주의사항 등을 실전 경험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바이오 비즈니스의 신뢰 기반을 마련하고,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LOI와 MOU의 차이와 활용법LOI(Letter of Intent)와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는 본계약 체결 전, 양측의 협력 의사를 확인하는 문서입니다. 두 문서 .. 2025. 6. 22.
해외 딜러 평가 기준표 공개! 성과·리스크·재계약 판단 기준은? 우수한 해외 딜러는 단순한 판매자가 아니라, 현지 시장에서 우리 제품을 대표하는 전략적 파트너입니다.하지만 많은 기업이 초기에 총판 계약만 체결한 후 성과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나 장기 전략 없이 방치하여, 결국 관계 단절이나 시장 손실이라는 결과를 마주하곤 합니다. 이 글에서는 실무 관점에서 딜러의 성과를 평가하고, 리스크를 감지하며, 계약 연장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기준과 실천 방안을 제시합니다.1. 성과 지표: 정량 + 정성 + 소통정량 지표딜러 평가의 가장 기초는 매출 실적입니다. 그러나 단순한 판매량만으로는 현지 활동의 질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월/분기/연간 판매 수량 및 성장률거래 단가 평균 및 연간 마진율 추이신규 거래처 확보 건수기존 고객 유지율 및 반복 주문률예시: 2024년 상반기 .. 2025. 6. 18.
영어 영업 PT 표현 및 실전 팁 정리 제약·바이오 산업에서 제품을 소개하고 파트너나 바이어 앞에서 발표하는 프레젠테이션(PT)은 단순한 설명 이상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입니다. 특히 영어로 진행되는 국제 미팅에서는 명확한 구조, 핵심 메시지 전달, 설득력 있는 어조가 동시에 요구됩니다.이 글에서는 발표 전 준비부터 실제 발표 흐름, 질의응답까지 각 단계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영어 표현과 실전 팁을 정리합니다. 특히 제약·바이오 영업 PT 특유의 기술 정보 전달과 신뢰 확보를 고려해 구성했습니다.1. 발표 시작과 소개① 발표 시작 인사“Good morning, everyone. Thank you for joining today’s session.”“I'm [이름] from [회사명], and it's a pleasure to introduc.. 2025. 6. 18.
반응형